- 당신과 상대가 선택의 기로에 있다.
Rule은 다음과 같다.
- 먼저 당신이 Yes인지, No인지를 결정한다.
- 당신이 No라고 말한다면, 그 다음에는 상대가 Yes인지 No인지를 말한다.
- 조건
- 당신이 Yes라고 말하면 둘다 1000만원씩 받고 끝낸다.
- 당신이 No라고 한 경우에 상대방이 Yes라고 말하면 상대방만 3000만원 받고 끝난다.
- 당신이 No라고 한 경우에 상대방이 No라고 말하면 둘다 2000만원을 받고 끝난다.
라고 했을 때, 당신은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
그리고, 최대의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을 사용해야 하는가?
Game 이론의 가장 큰 Assumption은 상대방과의 의견교환이나, 정보교환이 차단 된다는데 그 의의가 있는 것 같습니다. 당신은 상대방이 어떻게 결정할 지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으며, 이는 결국 상대방의 배신의 인센티브를 막을 수 없는 Restriction과 같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최대한의 이익은 내가 No를 하고, 상대방이 Yes를 하면 3000만원의 최대 이익이 돌아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상대방은 언제나 Yes를 선택할 것이므로, 나는 절대로 No라고 말해서는 안되는 현실입니다. 또한, No-No Combination이 되기 위하여, 상대방과 무언의 약속을 하더라도, 내가 No라고 말한 다음에 상대방이 굳이 No라고 얘기할 인센티브가 전혀 없는 것이지요.
이런걸 방지하기 위하여, 계약 관계라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상대방과 계약을 하게 되는 것이죠. 나는 No를 하는데 도장을 찍고, 상대방도 No를 하는 데 도장을 찍은 후, 계약 불이행 시의 위약금을 1500만원으로 하게 되면, 나는 No를 말할 수 밖에 없는 입장이 되고, 그 다음 상대방이 Yes를 하면 1500만원을 가져가고 나도 1500만원을 가져가게 됩니다. 공평하지요. 하지만 상대방이 이 순간에 No를 하게되면 각자 2000만원씩을 획득하게 되니 Max gain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서로의 의견이나, 정보가 교환되는 순간부터 Game이론의 죄수의 딜레마 문제는 더이상 딜레마가 되지 않습니다.
댓글